분류 전체보기51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로드맵(Roadmap)이란? 기능 개발의 전략 수립 도구 제품이나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단기적인 일정만으로는 방향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스타트업이나 신기술을 도입하는 프로젝트에서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구현할지에 대한 큰 그림이 필요합니다. 이때 중요한 용어가 바로 ‘로드맵(Roadmap)’입니다.로드맵은 단순한 일정표가 아니라, 제품 또는 서비스가 향후 어떤 기능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전략 문서입니다. 개발팀, 기획팀, 마케팅팀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공통된 방향성을 공유하게 해 주는 핵심 도구이죠. 또한 로드맵은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줄이고,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속도를 높이는 역할까지 합니다. 단순히 "계획"을 넘어서 "전략"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로드맵의 진짜 가치입니다. 로드맵 IT 용어의 정의와 역할로드맵.. 2025. 8. 12.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KPI, OKR의 차이와 설정법 한눈에 보기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성과를 측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 필수적으로 따라옵니다. 이때 자주 등장하는 IT 용어가 바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와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입니다. 겉으로 보면 두 용어 모두 목표와 성과를 다루는 것 같지만, 접근 방식과 활용 방법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실무에서 KPI와 OKR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측정 지표가 모호해지고 팀이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특히 스타트업, 신규 서비스, 혹은 대규모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는 이 두 개념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목표 달성 속도와 팀의 집중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KPI와 OKR의.. 2025. 8. 11.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유저 플로우(User Flow) vs 와이어프레임 차이 정리 디지털 제품을 만들 때 기획자는 수많은 IT 용어와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유저 플로우(User Flow)’와 ‘와이어프레임(Wireframe)’은 기획 단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이자 개념입니다. 두 용어 모두 서비스 화면 설계와 관련 있지만, 실제 역할과 활용 목적은 꽤 다릅니다.실무에서는 기획자뿐 아니라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까지도 이 두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획자가 유저 플로우를 의도한 대로 작성하지 않으면 개발자는 기능 구현 과정에서 혼선을 겪고, 디자이너는 불필요한 시안을 만들게 됩니다. 반대로, 와이어프레임이 명확하지 않으면 개발 과정에서 UI 요소가 누락되거나 잘못 배치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개념의 정의부터 .. 2025. 8. 10.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백오피스(Back Office) 시스템이란? 관리도구 구조 이해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이용자가 보지 못하는 관리 화면이 반드시 존재합니다.회원 정보 수정, 주문 처리, 콘텐츠 등록, 통계 확인 등 서비스의 ‘내부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이죠.이 내부 운영 시스템이 바로 백오피스(Back Office)입니다.백오피스는 단순한 관리도구가 아니라,서비스 품질 유지와 비즈니스 확장에 직결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기획자 관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IT 용어인 백오피스의 개념과 구성,그리고 설계 시 고려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T 용어 백오피스의 정의와 역할백오피스(Back Office)는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지 못하는내부 운영 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이 용어는 보통 프론트엔드(Front Office, 즉 사용자-facing 화면).. 2025. 8. 9.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페이지네이션 vs 무한스크롤 UX 차이 이해하기 여러분은 인터넷에서 제품을 검색하거나, 뉴스 기사나 블로그 글을 탐색할 때 어떤 구조의 페이지를 자주 보셨나요?“더 보기” 버튼을 눌러서 다음 내용을 확인하거나, 스크롤을 내리는 것만으로 더 많은 콘텐츠가 자동으로 나타났던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이런 사용자 경험(UX)의 차이는 단순한 디자인 문제가 아니라,서비스의 기획 방향성과 사용자 행동, 그리고 기술적 구현 방식까지 모두 영향을 받는 중요한 결정입니다.이때 우리가 꼭 이해해야 할 두 가지 IT 용어가 바로 ‘페이지네이션(Pagination)’과 ‘무한스크롤(Infinite Scroll)’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지,그리고 실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지 기획자의 관점에서 자.. 2025. 8. 8.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OAuth란? 소셜 로그인 구현 방식 이해하기 요즘 대부분의 웹사이트나 앱에서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구글, 네이버, 카카오, 애플 등 소셜 계정으로 간편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사용자는 클릭 한 번으로 로그인하고,서비스 운영자는 빠르게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죠.이 간편한 로그인 방식 뒤에는 중요한 기술 표준이 숨어 있습니다.바로 오늘의 주제인 OAuth입니다.이번 글에서는 OAuth라는 IT 용어의 개념, 동작 방식, 그리고 소셜 로그인 구현 흐름을기획자와 초보 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실무적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T 용어 OAuth는 인증이 아닌 ‘권한 위임’ 프로토콜입니다많은 분들이 OAuth를 ‘소셜 로그인 인증 방식’이라고 알고 있지만,정확히 말하면 OAuth는 인증(Authentication)이 아닌 권한 위.. 2025. 8. 7.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