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용어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OAuth란? 소셜 로그인 구현 방식 이해하기

5e0dude 2025. 8. 7. 23:54

요즘 대부분의 웹사이트나 앱에서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구글, 네이버, 카카오, 애플 등 소셜 계정으로 간편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클릭 한 번으로 로그인하고,
서비스 운영자는 빠르게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죠.

이 간편한 로그인 방식 뒤에는 중요한 기술 표준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오늘의 주제인 OAut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OAuth라는 IT 용어의 개념, 동작 방식, 그리고 소셜 로그인 구현 흐름
기획자와 초보 개발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실무적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T 용어 소셜 로그인 구현 방법 OAuth

 

IT 용어 OAuth는 인증이 아닌 ‘권한 위임’ 프로토콜입니다

많은 분들이 OAuth를 ‘소셜 로그인 인증 방식’이라고 알고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OAuth는 인증(Authentication)이 아닌 권한 위임(Authorization)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즉, OAuth는 사용자가 A라는 서비스(예: 카카오)에서 가진 정보를
B라는 서비스(예: 내가 만든 앱)와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역할을 해주는 기술 표준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을 선택하면
내 서비스는 카카오 서버에 다음과 같은 요청을 합니다:

"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잠깐만 알려주세요. 인증은 사용자가 카카오에서 하도록 할게요."

이때 사용자는 카카오 로그인 페이지에서 인증을 하고,
그 결과를 토큰(Token) 형태로 받아오게 됩니다.
이 과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OAuth라는 용어입니다.

 

IT 용어 OAuth의 동작 흐름을 단계별로 이해해 봅시다

OAuth는 2.0 버전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성됩니다.

1. 사용자 요청

사용자가 ‘Google로 로그인’ 또는 ‘카카오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인증 서버로 리디렉션

사용자는 해당 소셜 서비스(카카오, 네이버 등)의 OAuth 인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페이지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로그인 먼저 요구하고,
권한 요청 화면에서 데이터 제공 동의 여부를 묻습니다.

3. Authorization Code 발급

사용자가 동의하면, Authorization Code라는 임시 코드가 발급되어
내 서비스의 콜백 주소로 전달됩니다.

4. Access Token 발급

서비스는 받은 코드를 이용해 Access Token을 요청하고,
소셜 서버는 이 토큰을 반환합니다. 이 토큰은 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합니다.

5. 사용자 정보 요청

이제 이 Access Token을 이용해서
이메일, 이름, 프로필 사진 등의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전체 과정은 대부분 OAuth 2.0이라는 용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인증과 데이터 접근을 분리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간편하게 만듭니다.

 

IT 용어 OAuth는 보안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지켜줍니다

OAuth는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도
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이건 보안적으로 매우 중요한 점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내 비밀번호를 다른 서비스에 입력하지 않아도 됨
  • 토큰 기반 접근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 후 만료되어 보안성이 높음
  • 토큰에 권한 범위를 제한할 수 있어, 최소한의 정보만 공유 가능
  • 사용자가 쉽게 인증 취소 및 재승인 가능

실제로 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에 동의하면
다음부터는 클릭 한 번으로 로그인할 수 있어
사용자 이탈률 감소전환율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OAuth라는 IT 용어는 단순한 기술 이상으로,
보안성과 UX 모두를 만족시키는 핵심 로그인 구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IT 용어 OAuth의 실무 적용: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

기획자는 OAuth를 직접 구현하진 않지만,
다음과 같은 부분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기획 설계와 개발 협업이 수월해집니다.

 

1. 어떤 소셜 계정을 지원할지 결정

  • Google, Apple, Kakao, Naver 등
  • 대상 고객군, 국가, OS 환경 등을 고려해 선택

2. 어떤 정보를 받을지 정의

  • 이메일, 이름, 프로필 사진 등
  • 각 서비스마다 제공하는 데이터가 다르므로 사전 확인 필요

3. 로그인 실패/취소 시 UI 흐름 설계

  • 로그인 중 사용자 동의 거부, 로그인 실패 등
  • 예외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도록 플로우 정리 필요

4. 자체 회원가입과의 통합 고려

  • 소셜 로그인 사용자와 기존 계정 통합 여부
  • 이메일 중복 시 처리 방식 등 명확한 정책 수립 필요

OAuth라는 용어는 단순히 “구글 로그인 추가해 주세요” 수준이 아니라,
전체 인증 정책, 데이터 정책, UX 흐름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능이라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IT 용어 OAuth와 다른 로그인 방식과의 차이점 비교

초보자 입장에서 헷갈릴 수 있는 개념 중 하나는
OAuth와 OpenID Connect, SAML, JWT 등의 차이입니다.

간단히 정리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설명
OAuth 2.0 인증이 아닌 '권한 위임' 프로토콜 (정보 제공자 중심)
OpenID Connect OAuth 기반에 인증 기능을 확장한 표준 (로그인 기능 포함)
JWT JSON 기반의 토큰 포맷, OAuth에서 주로 사용
SAML 기업 내부 시스템에서 많이 쓰이는 XML 기반 인증 방식
 

일반적인 소셜 로그인에서는 OAuth + OpenID Connect 조합이 사용되며,
이 토큰을 JWT 형식으로 받아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즉, OAuth라는 용어 하나만 정확히 이해해도
관련 개념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IT 용어 OAuth는 로그인과 데이터 보호를 연결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OAuth는 로그인 경험을 간편하게 만들어주는 동시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서비스를 처음 기획하거나 확장할 때,
이 기술이 제공하는 보안성과 UX 향상 효과는 매우 큽니다.

기획자에게 OAuth는 단순한 로그인 방식이 아니라,
서비스 온보딩 전략, 사용자 데이터 설계, 보안 정책에 모두 관여하는 중요한 용어입니다.

앞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서비스에 소셜 로그인 기능을 도입하려 할 때,
이 글에서 소개한 OAuth의 개념과 흐름을 꼭 다시 떠올려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