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블로그에 도메인을 설정하다 보니, "보안이 설정되지 않은 사이트"라는 경고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주소창을 보니 http://로 시작하는 내 사이트는 자물쇠 아이콘이 없고, 다른 사이트들은 대부분 https://로 시작하며 자물쇠가 있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SSL 인증서'라는 단어가 계속 등장했다. IT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SSL이나 HTTPS가 뭔지, 왜 중요한지 헷갈릴 수밖에 없다. 필자도 처음엔 단순히 주소의 차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보안의 핵심 기술이라는 걸 알게 됐다. 이번 글에서는 SSL 인증서와 HTTPS의 개념 차이, 둘이 어떤 관계인지, 그리고 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려 한다.
IT 용어 - SSL 인증서란 무엇인가?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웹사이트와 사용자의 브라우저 간의 데이터 통신을 암호화해 주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SSL 인증서'는, 이 암호화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전자 증명서다. 즉, 특정 웹사이트가 진짜인지 확인하고, 그 웹사이트와 주고받는 데이터가 외부에서 훔쳐볼 수 없도록 암호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인증서는 웹사이트 소유자의 신원을 증명하는 동시에, 방문자와 주고받는 정보가 암호화된다는 것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인증서가 없다면 브라우저는 사이트를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SSL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이트는 브라우저와의 연결이 안전하게 암호화되며, 주소창에는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자물쇠는 해당 웹사이트가 안전한 보안 연결을 사용 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IT 용어 - HTTPS란 무엇인가?
HTTPS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의 약자로, 기존의 HTTP에 SSL 보안 기능을 추가한 통신 방식이다.
즉, HTTPS는 SSL 인증서를 이용해서 통신을 암호화하는 HTTP의 보안 버전이다.
주소창에서 https://로 시작하는 사이트는, SSL 인증서를 설치하여 암호화된 통신 환경을 구축한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로그인, 결제, 개인정보 입력 등을 할 때 HTTPS가 아닌 사이트라면, 그 정보가 중간에 탈취될 위험이 높아진다.
IT 용어 - SSL과 HTTPS의 차이점은?
많은 사람들이 SSL과 HTTPS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항목 | SSL | HTTPS |
의미 | 암호화 기술 자체 | SSL이 적용된 HTTP 프로토콜 |
역할 | 데이터 암호화, 인증 기능 | 암호화된 웹 통신 방식 |
구성 | 인증서, 암호화 알고리즘 포함 | 프로토콜 수준의 보안 적용 |
표시 방법 | 자물쇠, 인증서 정보 | 주소창에 https://로 표시됨 |
요약하자면, SSL 인증서는 보안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이고,
HTTPS는 그 도구가 적용된 실제 실행되는 통신 방식이다.
IT 용어 - HTTPS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
HTTP로 작동하는 사이트는 암호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중간에 가로채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 로그인 정보가 노출되어 해킹당할 수 있음
- 결제 정보가 유출될 수 있음
- 검색엔진에서 신뢰도 낮게 평가됨 (SEO 불이익)
- 크롬, 사파리 등 브라우저에서 경고 표시 발생
특히 최근에는 크롬 브라우저가 HTTP 사이트를 자동으로 ‘주의 요망’으로 표시하면서, 방문자의 이탈률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라는 경고는 즉시 신뢰를 잃는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IT 용어 - SSL 인증서는 어디서 발급받고 어떻게 적용하나?
SSL 인증서는 여러 보안 인증 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유료 인증서도 있지만, Let's Encrypt와 같은 무료 인증기관도 존재한다.
사이트에 SSL 인증서를 적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한다:
- 도메인을 보유한 상태에서
- 웹호스팅 또는 서버에서 SSL 발급 신청
- 인증서 설치 후 HTTPS로 리디렉션 설정
- 크롤링/SEO 관련 설정 수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카페24 같은 플랫폼은 대부분 자동 설치를 지원하거나, 몇 번의 클릭으로 가능하다.
IT 용어 - SSL과 HTTPS, 초보자가 이해하기 쉬운 비유
SSL 인증서를 편지봉투에 비유할 수 있다.
HTTP는 엽서처럼 내용이 그대로 노출된 채로 전달되지만,
HTTPS는 편지봉투 안에 넣어 봉인한 상태로 전달된다.
누군가가 중간에서 훔쳐보더라도, 편지를 열 수 없으니 내용을 알 수 없다.
즉, SSL 인증서가 제공하는 보안 기술 덕분에 우리의 개인 정보가 인터넷상에서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IT 용어 SSL과 HTTPS, 꼭 알아야 하는 이유
SSL 인증서와 HTTPS는 단순한 기술 용어가 아니라, 오늘날 인터넷에서 기본이 된 보안 표준이다.
특히 구글은 HTTPS가 적용된 사이트를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로 간주하고,
검색 순위에도 반영하기 때문에 SEO 측면에서도 필수적인 요소다.
초보자라도 이 IT 용어들을 단순히 외우기보다는, 어떻게 작동하고 왜 필요한지를 이해하고 나면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운영할 때 더 신뢰받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요즘은 단순한 블로그 운영자도 SSL 인증서를 설정하지 않으면 구글 서치콘솔에서 오류 경고를 받을 수 있고,
사이트 순위가 점점 뒤로 밀리는 경우도 흔하다. 따라서 SSL과 HTTPS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필자도 티스토리에 블로그를 만들면서 처음에는 SSL 인증서 설치 과정에서 많이 헤맸지만,
개념을 정확히 이해한 후에는 적용 방법도 익힐 수 있었고,
웹사이트 보안과 검색 노출 성능까지 자연스럽게 개선되었다.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IP 주소, 사설과 공인 IP의 차이 (0) | 2025.07.14 |
---|---|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클라우드란? 구글 드라이브가 왜 클라우드일까? (0) | 2025.07.13 |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진짜 차이점 (0) | 2025.07.13 |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API란 무엇인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구조 (0) | 2025.07.12 |
[IT 용어 하루에 하나씩 배우기] DNS란? 도메인과 IP의 연결 고리 (0) | 2025.07.12 |